교수요원 연수
한국어 교수요원 연수 및 학위(석·박사) 취득
- 배 경 :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해 한국학과 교수요원들의 전문성 향상 및 역량 제고 필요
-
방 법 : 수요조사를 통한 발음, 문법, 글쓰기 등의 연수 뿐만 아니라 한국으로의 석 ⋅ 박사 학위 취득을 위한 기회 제공.
또한 한국어능력시험(TOPIK) 전문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도 실시※ 대학 한국학과의 경우 졸업요건으로 한국어능력시험(TOPIK) 3등급~5등급을 요구하고 있음
< 호치민시 및 인근 지역의 대학 한국학과 현황(2018.12) >
학교명 | 한국학과 설립연도 | 설립 주체 | 학생수 | 전체 교 ⋅ 강사수 (한국인) |
---|---|---|---|---|
호치민 인사대 | 1993 | 국립 | 500 | 27(6) |
외국어정보대 | 1995 | 사립 | 710 | 17(7) |
홍방국제대 | 1999 | 사립 | 175 | 6(2) |
락홍대 | 2003 | 사립 | 260 | 9(5) |
사이공문화예술대 | 2006 | 사립 | 63 | 4(1) |
반히헨대 | 2007 | 사립 | 798 | 18(5) |
투득기술전문대 | 2012 | 시립 | 600 | 10(3) |
응웬떡탄대 | 2012 | 사립 | 61 | 4(0) |
바리아붕따우대 | 2014 | 사립 | 170 | 4(1) |
호치민기술대 | 2015 | 사립 | 662 | 14(2) |
호치민사범대 | 2016 | 국립 | 450 | 6(1) |
반랑대학교 | 2017 | 사립 | 275 | 6(1) |
총 계 | 4,724 | 125(34) |
※ 북부(9개교) : 하노이인사대, 하노이외대, 하노이대학, 탕롱대학, 타이응웬대학, 베일외국어기술전문대, 박하전문대, 하노이전문폴리텍크닉, 타이응웬기술전문대
중부(3개교) : 다낭외대, 후예외대, 달랏대학